'[생각해 보아요]'에 해당되는 글 3건

광복 이후 한국 전쟁 이전과 같은 이념의 시대가 아니고서야 요즘같이 신념의 양극화가 심했던 적이 있었을까 싶다. 나는 사람들의 생각이 이처럼 극단적으로 된 이유가 익명으로 활동하는 인터넷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얼굴을 맞대고 이야기할 때보다는 모르는 사람과 이야기할 때 사람들은 자신의 의견을 더 강하게 주장하고 쉽게 싸우면서 자신의 의견을 더 강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준구 교수님이 최근 "무엇이 신념의 양극화(belief polarization)를 부추기고 있는가?"라는 글을 올리셨다. 교수님은 소셜 미디어가 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동감한다. 댓글에서 누가 말했듯 자신과 비슷한 성향의 사람의 글을 추천해주는 추천 시스템이 이러한 극단적인 신념의 양극화를 강화했다고 생각한다.

나는 되도록 양쪽의 입장을 다 들어 보려고 노력한다. 신문도 소위 좌파, 우파 신문을 모두 구독하고, 커뮤니티 사이트도 진영을 가리지 않고 방문해서 같은 사안을 얼마나 다르게 보는지 살펴본다. 사안에 따라 더 끌리는 쪽이 있게 마련이지만, 극단적으로 어느 쪽이 무조건 옳다고 보지 않으려고 한다.

국민들은 위정자들이 무엇은 잘하고 있고, 무엇은 잘못하고 있는지 올바르게 지적하고 비판해야 한다. 국민이 두 집단으로 나뉘어 한쪽에서는 잘하는 것만 칭찬하고, 다른 쪽에서는 못하는 것만 지적한다면, 잘못은 그대로인 채 칭찬하는 쪽만 끌어안고 나머지에는 등 돌리는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올 수밖에 없다.

'[생각해 보아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블로 학력 논란 사건  (0) 2010.06.10
"야근 인정해달라"..한 IT 근로자의 절규  (6) 2010.03.05

댓글을 달아 주세요

얼마전부터 인터넷을 떠들썩하게 하는 이슈. 처음에는 일부 네튀즌들의 음모론이겠거니 했다가 20여 가지 이상을 조목조목 거론한 위조론의 글을 보고 위조에 무게가 실리다가 좀 더 조사를 해보니 위조론에도 상당한 허점들이 있다. 한가지 확실한 것은 사실이든 위조이든 타블로 측의 현재 대응 방식은 대단히 미온적이며 의혹을 더 확대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을 노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려 의심스럽다.

여기서 'A라는 사람이 B라는 학교를 정말로 졸업했는지를 확인하는 명확한 방법 C가 존재하지 않는가?'라는 의문이 든다. 졸업 논문은 안 썼다고, 오해라고 하면 될 듯 하다. 왜냐하면 전에 말한 논문 드립은 그냥 수업 레포트였다고, 그걸 논문이라고 말할 수 있으니까. 미국에서 프로그램에 따라 졸업 논문 없이 석사 졸업은 가능하니까. 졸업 증명서 같은 것은 위조 가능성 때문에 믿지 않을테고. 이 기세로는 위조가 좀 더 어렵다는 성적 증명서를 보여줘도 위조라고 할 기세이다.

과거처럼 신문 기사만을 곧이 곧대로 믿지는 않게 머리가 컸다. 그러고나니 신문 기사는 아무것도 믿지 못하게 되는 부작용이 생기기는 했지만 말이다. 조중동과 한겨례가 같은 사실을 가지고도 완전히 반대의 주장을 하는 둥.

역시 음모론은 재미있다. 그러나 드라마나 영화가 아닌 이상 진실을 우리가 제대로 아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번 사건이 어떻게 마무리, 아니 무마될지 궁금하다.

'[생각해 보아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념의 양극화  (4) 2021.06.29
"야근 인정해달라"..한 IT 근로자의 절규  (6) 2010.03.05

댓글을 달아 주세요

"연말 오픈 예정이었지만 6개월 일정으로는 어림없는 작업이었습니다. 외부 하청업체마저 `사람 잡는다'며 포기할 정도였으니까요. `월화수목금금금'의 연속이었습니다" 

"저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IT 근로자들이 3D업종 종사자로 전락한 지 오래됐습니다. 장시간 노동에 야근수당마저 제대로 못 받는 현실입니다. 우리나라가 `아이폰' 같은 뛰어난 IT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IT 근로자의 처우부터 개선해야 한다고 봅니다" 

우리나라 특성상 IT 분야뿐만의 문제는 아니겠지만 이쪽 분야에 있다 보니 이런 뉴스에 눈이 간다. 가장 큰 문제는 주어진 기간 내에 정상적으로 할 수 없는 일을 던져 주는 게 문제이다. '5일 동안 할 수 있는 일을 4일 동안 할 수 있다고 말하고 3일 만에 해내는 것이 훌륭한 일꾼(?)'이라는 말이 있다만, 현실은 10일 동안 할 수 있는 일을 5일 만에 해 놓으라고 주는 게 문제란 말이다. 

사실 이 분야에서는, 특히 프로세스가 갖추어지지 않은 영세한 개발업체에서는, 어떠한 일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얼마의 시간을 필요로 하는지 맨먼스(Man-Month) 같은걸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획자나 마케터가 주는 데드라인이 개발 기간으로 잡히기 일쑤이다. 

개발자는 주어진 기간에 할 수 없는 것을 알면서도 자신의 능력이 부족해서 기한 내에 마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이지 않기 위해 자신을 혹사하게 된다. 점점 더 능률은 떨어지고, 몸은 만신창이가 되고, 제품(?)도 엉망이 된다. 악순환의 연속이다. 원가 절감을 위해 더 많은 시간이나 인력을 줄 수는 없다는 식의 논리. 

방법은 일이 적은 땡보(?) 회사에 취직하는 수밖에 없다. 하지만, 대개 이런 회사는 취업하기 쉽지 않다. 결국, 뾰족한 수가 없으니 이쪽 일을 그만두려는 수 밖에. IT 일 자체를 좋아하더라도 이 분야를 떠나고 싶어 한다.

'[생각해 보아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념의 양극화  (4) 2021.06.29
타블로 학력 논란 사건  (0) 2010.06.10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