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이후 한국 전쟁 이전과 같은 이념의 시대가 아니고서야 요즘같이 신념의 양극화가 심했던 적이 있었을까 싶다. 나는 사람들의 생각이 이처럼 극단적으로 된 이유가 익명으로 활동하는 인터넷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얼굴을 맞대고 이야기할 때보다는 모르는 사람과 이야기할 때 사람들은 자신의 의견을 더 강하게 주장하고 쉽게 싸우면서 자신의 의견을 더 강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준구 교수님이 최근 "무엇이 신념의 양극화(belief polarization)를 부추기고 있는가?"라는 글을 올리셨다. 교수님은 소셜 미디어가 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동감한다. 댓글에서 누가 말했듯 자신과 비슷한 성향의 사람의 글을 추천해주는 추천 시스템이 이러한 극단적인 신념의 양극화를 강화했다고 생각한다.
나는 되도록 양쪽의 입장을 다 들어 보려고 노력한다. 신문도 소위 좌파, 우파 신문을 모두 구독하고, 커뮤니티 사이트도 진영을 가리지 않고 방문해서 같은 사안을 얼마나 다르게 보는지 살펴본다. 사안에 따라 더 끌리는 쪽이 있게 마련이지만, 극단적으로 어느 쪽이 무조건 옳다고 보지 않으려고 한다.
국민들은 위정자들이 무엇은 잘하고 있고, 무엇은 잘못하고 있는지 올바르게 지적하고 비판해야 한다. 국민이 두 집단으로 나뉘어 한쪽에서는 잘하는 것만 칭찬하고, 다른 쪽에서는 못하는 것만 지적한다면, 잘못은 그대로인 채 칭찬하는 쪽만 끌어안고 나머지에는 등 돌리는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올 수밖에 없다.
'[생각해 보아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블로 학력 논란 사건 (0) | 2010.06.10 |
---|---|
"야근 인정해달라"..한 IT 근로자의 절규 (6) | 2010.03.05 |
댓글을 달아 주세요